
HOME > 비상 통화장치
비상통화장치는 카 내부에서 비상호출시 관리실에 사람이 없어 응답할 수 없을 경우 미리 입력해 놓은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호출하는 기능으로 승객의 불안감을 해소시키고 엘리베이터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.
승강기 검사기준 전부개정-의무 설치 규정
직접 통화장치 의무설치 검사기준(전기식 엘리베이터 검사기준에서 발췌)
"2013년 9월 14일 법규 적용"
14.2.3.5 카 내와 외부의 소정의 장소를 연결하는 통화장치는 당해 시설물의 관리 인력이 상주하는 장소(경비실, 전기실, 중앙관리실 등)에 이중으로 설치되어야 한다. 다만, 관리 인력이 상주하는 별도의 장소가 2개소 미만인 시설물의 경우에는 하나만 설치 될 수 있다.
또한, 이와 별도로 시설물 내부 통화가 연결되지 않을 경우에는 승강기 유지관리업체 또는 점검자에게 자동 통화 연결되어 신속한 구조요청이 이루어 질 수 있는 통화장치를 갖추어야 한다.
14.2.3.5 카 내와 외부의 소정의 장소를 연결하는 통화장치는 당해 시설물의 관리 인력이 상주하는 장소(경비실, 전기실, 중앙관리실 등)에 이중으로 설치되어야 한다. 다만, 관리 인력이 상주하는 별도의 장소가 2개소 미만인 시설물의 경우에는 하나만 설치 될 수 있다.
또한, 이와 별도로 시설물 내부 통화가 연결되지 않을 경우에는 승강기 유지관리업체 또는 점검자에게 자동 통화 연결되어 신속한 구조요청이 이루어 질 수 있는 통화장치를 갖추어야 한다.

비상 통화 방법
